학교짓기 프로젝트
개요
1. 드림스드림은 “2050년까지 만방에 1만개 학교 짓기”를 목표로 후원금의 100%를 해외 학교 짓기에 사용하고 있습니다.
2. 드림스드림은 모든 활동이 100% 재능기부로 진행되며, 단체 운영비는 0원입니다.
3. 드림스드림 서울시에 등록된 비영리민간단체이며, 기획재정부에서 인정한 지정기부금단체입니다.
후원: 우리은행 1005-402-595949 드림스드림

드림스드림 학교 지도(Schools Map)
학교짓기/운영현황
- 프로젝트 제목: 네팔 룸비니 학교 증축
- 학교이름: Nav Jeevan English Boarding School
- 기존학교시설: 교실 16개,강당 1개,화장실 1개로 2층구조
- 학교증축: 교실 4개, 화장실, 계단, 난간 공사 및 페인트칠
- 공사기간: 2014.03.06~2014.05.30 (완공)
- 프로젝트 제목: 파키스탄 라호르 쎄꾸뿌라 학교 신축
- 프로젝트 규모: 교실 3개 신축
- 공사기간: 2015.11. ~ 2016.08.22 (완공)
- 프로젝트 제목: 아프리카 차드 겔랜뎅 학교 신축
- 프로젝트 규모: 교실 3개 교무실 1개 신축, 2000만원
- 공사기간: 2015.11. ~ 2016.09.30 (완공)
- 프로젝트 제목: 파키스탄 파이슬라바드 로께 학교 신축
- 프로젝트 규모: 교실 2개 교무실 1개 신축, 2000만원
- 공사기간: 2015.12. ~ 2016.07. (완공)
- 프로젝트 제목: 에티오피아 아가코 학교 신축
- 학교이름: 에티오피아 아가코 학교
- 프로젝트 규모: 30평규모, 교실과 사무실 포함하여 3칸이하 신축, 한화 2,000만원
- 공사기간: 2016.10. ~ 2017.07. (완공)
- 프로젝트 제목: 파키스탄 파이슬라바드 타리얀왈라 학교 신축
- 프로젝트 규모: 40평규모로 교실과 사무실 포함하여 3칸 신축, 한화 2,000만원
- 공사기간: 2016.11. ~ 2017. 02. (완공)
- 프로젝트 제목: 라이베리아 듀포트 Spiritual Harvest 학교 신축
- 프로젝트 규모: 한화 2,000만원
- 공사기간: 2017.09. ~ 2018.02 (완공)
- 프로젝트 제목: 탄자니아 킬리만자로 마구구 학교 신축
- 프로젝트 규모: 한화 2,000만원
- 공사기간: 2016.11.~ 2017.07. (완공)
- 프로젝트 제목: 파키스탄 파이슬라바드 가뜨왈라 학교 신축
- 프로젝트 규모: 한화 2,000만원
- 공사기간: 2017.01 ~ 2017.05. (완공)
- 프로젝트 제목: 캄보디아 깜뽕치난 기술 학교 신축
- 프로젝트 규모: 한화 2,000만원
- 공사기간: 공사기간: 2020.01 ~ 2020.06 (완공)
- 프로젝트 제목: 탄자니아 잔지바르 키디음니 학교 신축
- 프로젝트 규모: 한화 2,000만원
- 공사기간: 2020.02 ~ 2020.05 (완공)
1. 프로젝트 제목: 토고 시이메 학교2. 프로젝트 규모: 한화 2,000만원3. 공사기간: 2020.12.01~공사중4. 후원금모금기간: 2020.11.10~11.30 5. 후원금자:이봉의,박순숙,장동희,장동진
프로젝트 제목: 마다가스카르 포갑 나나레나학교 프로젝트 규모: 한화 1,500만원 공사기간: 2020.11.10~공사중 모금기간: 2020.11.06후원자: 이지성, 차유람, 고한나, 고예일, 김금순, 고재학
1. 프로젝트 제목: 마다가스카르 베다니 정보기술학교2. 프로젝트 규모: 한화 2,000만원3. 공사기간: 미정4. 후원금 모금기간:5. 후원자:
1. 프로젝트 제목: 마다가스카르 무라누라 스마트팜스쿨2. 프로젝트 규모: 한화 2,000만원3. 공사기간: 미정4. 후원금 모금기간:5. 후원자:
1. 프로젝트 제목: 마다가스카르 암부히치엘루카 학교2. 프로젝트 규모: 한화 2,000만원3. 공사기간: 미정4. 후원금 모금기간:5. 후원자:

학교 선정 기준
- 주요 대상 국가는 GNP 또는 GDP 기준으로 세계 60위 이하 국가나 지역에 유치원, 초등학교가 없는 곳을 우선적으로 선정하며 중학교, 고등학교, 직업학교, 장애우학교까지도 신청이 가능하다.
- 학교부지가 미리 확보 되어 있어야 한다.
- 학교를 운영한 경험이 있는 재외한국인 또는 현지인들을 우선적으로 선정한다.
- 교실과 사무실 포함하여 최소 2칸이상을 건축하는 것으로 최대 2천만원까지 지원한다.(위 내용은 현지 사정에 따라 변경 될수 있다.)
학교짓기 대상 주요 국가 및 지역
- 아시아, 중동: 방글라데시, 아프카니스탄, 네팔, 라오스, 미얀마, 필리핀, 인도네시아, 캄보디아, 태국, 말레이시아, 동티모르, 스리랑카, 인도, 키르키스탄, 타지키스탄, 몽골, 투르크메니스탄, 파키스탄, 그루지아, 아제르바이잔, 예멘, 레바논, 요르단, 시리아 외
- 아프리카: 보츠와나, 스와질랜드, 레스토, 알제리, 모리타니, 말리, 나제르, 차드, 수단, 에티오피아, 에리트레아, 소말리아, 세네갈, 갈비아, 기니비사우, 기니, 시에라리온, 라이베리아, 코트다부아트, 부르키나파소, 가나, 베넹, 토고, 카메룬, 중앙아프리카공화국, 가봉, 적도기니, 콩고, 콩고민주공화국, 우간다, 케냐, 르완다, 브룬디, 탄자니아, 말라위, 모잠비크, 짐바브웨, 잠비아, 앙골라, 가봉, 나미비아, 보츠와나, 모리셔스, 튀니지, 카보베르데 외 아프리카국가
- 남미: 콜롬비아, 볼리비아, 과테말라, 쿠바, 도미니카공화국, 테구시갈파, 산살바도르, 아이티, 코스타리카, 수리남, 가이아나, 브라질, 아르헨티나, 멕시코 외


후원금 및 프로젝트 관리정책
- 후원금 모금 현황 상세히 공개
홈페이지와 페이스북, 정기모임을 통해서 투명하게 공개한다. - 학교를 짓는 과정부터 완공까지 모습을 투명하게 공개
– 학교를 짓기 전에 설계도를 포함한 학교건축 계획서를 제출 받아서 심의한다.
– 학교를 짓는 과정들을 상세하게 공개한다.
– 건축전문가가 필요한 경우에는 섭외하여 관리.감독을 하도록 한다.
– 건축진행의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서류들을 검토하여 투명하게 진행되도록 관리한다.
– 결산관련 서류들은 원본으로 받아서 검토한다. - 완공 후 운영 및 관리 정책
학교 완공 후 운영은 현지 주관 하에 이루어지도록 한다.
가난한 나라에 학교를 짓고싶은가요?
1.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장애인학교, 정보기술학교, 다양한 종류의 직업학교 짓기를 신청할 수 있다.
2. 학교를 지을 부지(땅)가 준비되어 있어야 신청이 가능하다.
3. 신축학교에 대해서 우선적으로 지원하며, 기존학교는 건물을 헐고 다시 지어야 할경우에는 지원해 준다. (기존에 짓고 있는 경우에는 이사회 협의가 필요함)
4. 학교 규모가 커서 예산이 초과할 경우에는 드림스드림에서 2천만 원을 지원 받고 나머지는 다른 방법 조달을 해야 한다.(현지인들의 재능기부, 후원자 발굴)
4. 한 학교당 지원 예산은 2천만원이다.
5. 신청서에는 반드시 설계도와 건축 예산계획서(2천만 원에 맞추기)를 작성해서 보내야한다.
6. 현지 상황에 따라서 학교는 정부등록을 하지 않아도 신청이 가능합니다.
제안서 제출 메일: [email protected]
1. We sponsor building various types of schools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kindergarten,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high school, special school, and trade school.
2. We sponsor only when the school construction site has already been secured.
3. We prioritize sponsoring new school building projects. We sponsor existing schools only when there is a need for structural renovation. (When the school is already under construction, the decision regarding its sponsorship will be made by the directorate)
4. When the construction budget exceeds 20,000,000 KRW (about 17,000 USD) per school, the remaining buget must be raised through alternative means.
4. We sponsor only up to 20,000,000 KRW (about 17,000 USD) per school.
5. The proposal must contain a blueprint and detailed financial plan.
6. Under certain circumstances, it is possible to request a school building project without government registration.
Please send the proposal via email to the following email address: [email protected]
문의: 070-755-3623, [email protected]